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소화기학회


교육자료

HOME 자료실 교육자료
자료실
[상부위장관] 응혈괴 부착을 동반한 소화성 궤양 치료: 내시경 치료 대 약물치료
김일수 / 가톨릭대학교 / 2024.12.02
응혈괴 부착을 동반한 소화성 궤양에서의 내시경적 치료와 약물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endoscopic versus medical management of peptic ulcers with adherent clots (J Gastroenterol Hepatol. 2024 Oct;39(10):2031-2042.)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과 유럽의 가이드라인에서는 응혈괴 부착(Adherent clot)이 동반된 소화성 궤양인 Forrest IIb에 있어서, 내시경적 치료와 약물적 치료 중 어느 것도 추천하지 않습니다. 응혈괴 부착된 궤양에서 재출혈 확률은 20-30%가량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대한 기존의 두 개의 메타분석에서 재출혈에 대한 내시경 치료와 약물치료의 결과가 상의하였습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무작위대조시험(RCT) 자료와 새로운 무작위대조시험 자료를 이용해, 새로이 분석하였습니다.


1. 본 연구는 2022년 9월까지의 발표된 7개의 무작위대조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총 2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하였습니다.

2. 내시경적 치료 또는 단독 약물치료를 받은 대상 중 Forrest IIb인 대상자만 선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재출혈, 사망, 외과적 수술 필요성을 결과 변수로 하였습니다.

3. 268 명이 대상이 되었으며, 내시경적 치료는 120명이 받았으며, 단독약물치료는 148명이 받았습니다.

4. 내시경 치료군의 재출혈 발생률은 5.8%, 약물 치료군은 18.9%였습니다. 내시경 치료군의 재출혈 위험은 약물 치료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습니다(상대위험도 [RR] = 0.40, 95% 신뢰구간 [CI]: 0.16–0.95).

5. 사망률(RR = 0.90, 95% CI: 0.23–3.59)과 수술 필요성(RR = 0.48, 95% CI: 0.10–2.28)은 두 군 간 차이가 없었습니다.

6. 내시경 치료군의 입원 기간과 수혈 요구량이 약간 줄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결론적으로, 내시경적 치료는 궤양의 부착 혈전을 동반한 환자에서 재출혈 위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사망률이나 수술 필요성에서는 약물 치료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재출혈 예방이 중요한 환자군에서 내시경적 접근이 유리하겠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내시경 지혈술 중 아드레날린 주사와 열응고를 병행한 치료가 재출혈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었습니다.
따라서, Forrest IIb의 병변이라면, 재출혈 예방이 중요하다면 내시경 지혈술을 선호할 수 있겠으며, 내시경 지혈술 시행이 어려운 상태라면, 약물치료를 하며 조심스럽게 관리할 수 있겠습니다.

논문 바로가기

TOP


Copyright©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All Rights Reserved.

06193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86길 31, 305호 (대치동, 롯데골드로즈빌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