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내시경 후 대장암 사망률과 연관된 검진 대장내시경에서의 폴립 특성
Polyp characteristics at screening colonoscopy and post-colonoscopy colorectal cancer mortality: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대장내시경 후 대장암(post-colonoscopy colorectal cancer, PCCRC)은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진단되지 않은 대장암이 이후에 발견되는 경우를 일컬으며, 이를 권고되는 다음 검사 간격 이전에 진단되는 대장암, 즉 중간암(interval cancer)과 권고되는 다음 검사 간격 이후에 진단되는 비중간암으로 세분화하고 있습니다. 선별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확인된 큰 폴립과 고등급이형성(high grade dysplasia, HGD)은 PCCRC 발생 및 사망의 위험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장기간의 PCCRC 사망률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이미 알려져 있는 고위험그룹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고 단일 폴립의 특성과 PCCRC 사망율과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또한, 추적 대장내시경 검사 건수는 전 대장내시경 검사의 약 25%에 이르며, 대장암 선별 권장 연령이 45세로 낮춰지고 있어 선별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야만 하는 수검자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면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한 고위험군을 정의하고 그 외 수검자는 선별 검사로 돌아갈 수 있는 지침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CCRC 사망률과 연관된 검진 대장내시경에서의 폴립 특성을 확인하고 PCCRC 사망률을 정량화함으로써 PCCRC에 의한 사망 위험을 일반인구의 대장암 사망 위험 아래로 낮추기 위한 고위험군을 확인하고자 하였습니다.
- Key Points -
- 본 연구는 2007년 1월부터 2020년 12월 기간에 오스트리아에서 양질의 대장내시경검사를 시행 받은 50세 이상의 316,001 수검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입니다. PCCRC관련 사망은 통계청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ICD-10 코드 C18, C19, C20로 정의하였습니다. 추적 기간은 선별 대장내시경 검사 시점과 대장암 및 다른 원인에 의한 사망 시점 또는 연구기간 종료 시점까지의 기간으로 정의하였습니다.
- 특정한 폴립의 특성이 오스트리아의 일반인구와 비교하여 대장암 사망에 대해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갖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표준사망비(standardized mortality ratio, SMR)를 계산하여 평가하였습니다.
- 중앙추적관찰기간은 5.27년(95% CI, 5.25-5.29)으로 PCCRC에 의한 사망과 관련된 유의미한 인자는 10~20 mm 크기의 폴립(HR 4.00; 95% CI, 2.46-6.50; P<0.001)과 HGD(HR 6.61; 95% CI, 3.31-13.2; P<0.001)로 확인되었습니다.
- 폴립 크기<10mm 이고 HGD가 없는 수검자에서 PCCRC 사망률은 일반인구에서 예상되는 대장암 사망률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SMR, 0.27; 95% CI, 0.21-0.33; P<0.001), 폴립 크기≥ 10mm 이거나 HGD소견을 보이는 수검자에서는 높은 PCCRC 사망률(SMR, 2.05; 95% CI, 1.64-2.57; P<0.001)을 보였습니다.
- 이에 저자들은 선별 대장내시경 검사 시 폴립 크기≥ 10mm 이거나 HGD소견을 보일 경우 PCCRC에 의한 사망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므로, 이러한 고위험군에서 추적 대장내시경을 통한 좀 더 엄격한 감시가 필요함을 제시하였습니다.
논문 바로가기 ▶
직장 신경내분비 종양의 치료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권태근
[그림 1] 직장 신경내분비 종양의 절제 전(좌측) 후(우측)
- 질문
- 38세 남자가 대장내시경에서 직장에 종양이 발견되어 점막 절제술(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을 받았습니다 [그림 1]. 조직검사 결과 신경내분비 종양으로 진단되었습니다. 다음에 시행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
- 해설
- 직장 신경내분비 종양(rectal neuroendocrine tumor)은 대장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상피하 종양입니다. 투명한 노란색 또는 회색을 띠는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증식성 폴립과 감별이 필요합니다. 본 증례에서는 점막 절제술로 종양을 절제하였으나, 절제 후 내시경 소견에서 불완전 절제가 의심되는 소견이 관찰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추가 치료를 결정하였습니다 [그림 2]. 내시경 치료 당시 육안적으로 잔존 종양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점막하 주입을 시행하고 종양을 밴드로 묶은 후, 올가미를 이용하여 절제를 시행하였고, 절제면이 깨끗하게 절제되었습니다. 조직검사 결과, 종양의 크기는 6mm 였으며, Grade 1, Ki67 index < 1% 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림 2] 밴드 결찰 점막 절제술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with ligation)
- 질문
- 치료 방법에 따른 직장 신경내분비 종양의 치료 성적은 어떠한가요?
- 해설
- 직장 신경내분비 종양의 절제 방법은 전통적인 폴립 절제 방법으로 점막하 용액을 주입 후 올가미로 절제하는 점막 절제술, 변형 점막 절제술, 및 점막하 종양 절제술이 있습니다. 점막 절제술로 절제하였을 때 완전 절제율은 70-80%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변형 점막 절제술, 점막하 종양 절제술은 점막 절제술과 비교하여 완전 절제율이 더 높으며, 완전 절제율이 90% 이상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변형 점막 절제술은 점막 절제술을 할 때 보조 도구나 보조 기술을 사용하여 점막 절제술을 시행하는 방법입니다. 내시경 선단에 캡을 씌우고 병변을 흡인하면서 종양을 절제하는 EMR-C (cap), 점막하 주입 후 병변의 변연부 점막을 절개(precut)하고 점막절제를 하는 EMR-P (precut), 본 증례처럼 병변을 밴드로 묶어 병변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만든 후 절제를 하는 EMR-L (ligation)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변형 점막 절제술과 점막하 종양 절제술의 완전 절제율은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직장 신경내분비 종양은 악성 종양의 일종으로 대부분의 경우 장기 예후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잔존 종양이 남게 되는 불완전 절제가 되었을 경우에는 추후에 국소재발 및 원격전이 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치료 시 완전절제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Key messages
1. Ramage JK, De Herder WW, Delle Fave G, et al. ENETS Consensus Guidelines Update for Colorectal Neuroendocrine Neoplasms. Neuroendocrinology 2016;103:139-43.
2. Chablaney S, Zator ZA, Kumta NA. Diagnosis and Management of Rectal Neuroendocrine Tumors. Clin Endosc 2017;50:530-536.
3. So H, Yoo SH, Han S, et al. Efficacy of Precut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for Treatment of Rectal Neuroendocrine Tumors. Clin Endosc 2017;50:585-591.
4. Choi CW, Park SB, Kang DH, et al. The clinical outcome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incomplete endoscopic resection of rectal carcinoid tumor. Surg Endosc 2017;31:5006-5011.
5. Yang DH, Park Y, Park SH, et al. Cap-assisted EMR for rectal neuroendocrine tumors: comparisons with conventional EMR an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with videos). Gastrointest Endosc 2016;83:1015-22; quiz 1023-.e6.
6. Moon CM, Huh KC, Jung SA, et al. Long-Term Clinical Outcomes of Rectal Neuroendocrine Tumors According to the Pathologic Status After Initial Endoscopic Resection: A KASID Multicenter Study. Am J Gastroenterol 2016;111:1276-85.
고형췌장종양에 대해서 EUS-FNB시 to-and-fro movement 횟수에 대한 비교 연구
EUS-guided fine-needle biopsy sampling of solid pancreatic tumors with 3 versus 12 to-and-fro movements: a multicenter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초음파내시경(endoscopic ultrasound, EUS)은 췌장의 고형병변을 관찰하고 세포나 조직을 채취하여 진단을 내리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US-guided fine needle biopsy (EUS-FNB) needle이 나오기 전에는 EUS-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EUS-FNA) needle을 사용하여 주로 세포를 얻고 때로 적은 양의 조직도 얻을 수 있었으나, EUS-FNB needle이 나오면서 더 많은 조직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EUS-FNB needle 모양의 변형과 발전 등으로 인하여 조직을 얻는 것이 이전보다 수월해졌습니다. EUS-FNA를 시행할 때에는 puncture를 한 후 보통 10~20회 정도의 to-and-fro movements (TAFs)를 하게 됩니다. EUS-FNB를 시행할 때에도 EUS-FNA를 시행할 때와 비슷한 횟수의 TAFs를 하게 되는데, 본 연구는 EUS-FNB를 할 때 이보다 적은 횟수(3회)의 TAFs도 통상적인 횟수(12회)보다 열등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진행되었습니다.
- Key Points -
- 이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EUS-FNB needle중에서 3개의 symmetric한 heel을 갖고 있는 Franseen needle (22-gauge Acquire;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Marlborough, Mass, USA)이 사용되었습니다. EUS-FNB를 시행할 때에는 EUS-FNB needle 끝에 20 mL 주사기를 연결하여 10 mL의 음압을 걸어 진행하였습니다.
- 환자들은 두 군으로 무작위 배정되어 검사를 받았고, EUS-FNA needle로 2번 puncture하여 병변에서 조직을 얻었습니다. 첫번째 환자군은 첫번째 puncture때 3번의 TAFs를 시행 받은 후 두번째 puncture에서 12번의 TAFs를 시행 받았고, 두번째 환자군은 반대로 첫번째 puncture때 12번의 TAFs를 시행 받은 후 두번째 puncture에서 3번의 TAFs를 시행 받았습니다. 즉, 110명의 환자에서 총 220번의 puncture가 이루어졌으며, 조직이 얻어진 후에는 3-TAFs군과 12-TAFs군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기에 이 연구는 multicenter, noninferiority, crossov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인 것입니다.
- Primary endpoint는 diagnostic sensitivity였고, secondary endpoints는 diagnostic accuracy와 EUS-FNB 조직의 quantity/quality evaluation이었습니다. Quantitative evaluation에는 macroscopically visible core (MVC)의 길이와 microscopic histologic quantity가 사용되었고, qualitative evaluation에는 macroscopic visual evaluation과 microscopic histologic evaluation이 시행되었습니다.
- Diagnostic sensitivity는 3-TAFs군(88.6%)이 12-TAFs군(89.5%) 보다 열등하지 않았습니다 (difference, –.9%; 95% confidence interval, –9.81 to 7.86).
- Diagnostic accuracy는 3-TAFs군이 92.7%, 12-TAFs군이 94.6%로 비슷하였습니다. MVC의 길이는 양 군에서 13.5 mm로 동일하였습니다. 그러나 3-TAFs군이 12-TAFs군보다 macroscopic visual quality evaluation 점수가 ≥3점인 경우가 의미 있게 많았습니다 (71.8% vs 52.7%, p=0.009). Microscopic histologic quantity evaluation (3-TAFs군이 88.2%, 12-TAsF군이 83.5%)과 microscopic histologic quality evaluations (3-TAFs군이 90.0%, 12-TAFs군이 89.1%)의 결과는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습니다.
- Diagnostic sensitivity와 accuracy는 3-TAFs군이 12-TAFs군에 비해서 열등하지 않았습니다. 이와 더불어 3-TAFs군이 12-TAFs군에 비해 조직에서 관찰되는 blood contamination이 의미 있게 적었습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저자들은 췌장의 고형병변에서 조직을 얻는데 있어서 3-TAFs도 충분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논문 바로가기 ▶